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0년 7월 초록영화제[안녕,미누] 상영후기+지혜원 감독과의 대화

film /독립영화 리뷰

by 미디토리 2020. 7. 25. 14:02

본문

7월 초록영화제 ‹안녕, 미누›(2018) + 지혜원 감독과의 대화도 같이 준비했답니다. 

초록영화제 운영위원인 허주영 님이 상영 준비를 하면서 적은 소개글인데요. 

" 지난 2004년 일약 스타덤에 오른 개그맨 정철규(활동명 '블랑카') 씨의 유행어 "사장님 나빠요"는,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자리 잡고 있던 이주노동자들의 존재를 세상에 알렸습니다. 웃음 뒤에 찾아오던 그 서늘한 부끄러움이 아직도 기억나는데요. 그로부터 16년이 지난 지금, 우리 사회가 이주민과 이주노동자를 대하는 시선은 얼마나 달라졌을까요?"


특별히 지혜원 감독님과 함께 했던 초록영화제 

지혜원(감독) : 영화의 도시 부산에서 미누씨의 이야기를 볼 수 있게 돼서 마음이 따뜻해지네요. 작은 영화보기 모임이 있어서 참여하게 된 것이 영화 만든 사람으로서 보람이 느껴집니다.

 

아래는 관객분들과 나눈 대화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질문  : dmz 영화제에서 미누씨 얼굴을 볼수 있기를 바랐는지 아쉬웠습니다.  혹시 고심하다가 뺀 장면이 있는지요?

지혜원(감독) : 그 모습이 궁금하셨을텐데. 관객들이 상상했으면 좋겠습니다. 이게 가장 컸어요. 
 그 후에 세상을 떴는데... 한을 안고 떠난 미누씨가 먹먹한 마음이 관객들한테 오래 남았으면 하는  마음이 있었고, 영화제 게스트로 초대돼 왔는데 오기까지 과정이 너무 힘들었어요. 이재명 지사와 경기도청 사람들이 힘을 보태줬고 dmz 영화제에서도 미누씨가 초청될 수 있게 힘을 실어줬습니다. 미누씨가 비자를 신청해야 하는데 비자 신청을 하기 꺼려했어요. 10년이 안된 상태에서 비자 신청을 다시 하는 게... 허가를 받았지만 공항에서 또다시 돌아가게 될지 모르는 상황이니 그랬던 거 같아요. 당시에  촬영을 하겠단 생각도 못했어요. 

진행 (허주영): 이 영화가 지금 완성된 버전 이전에 마무리된 시점이 있었고, 그 사이 미누씨가 세상을 떠나서 제작업을 해서 개봉을 한 것이거든요

지혜원(감독): 영화제 버전과 개봉 버전이 달라요. 네팔에서 미누씨의 활동과 생각에 집중에서 만들었다면 미누씨가 죽고 나서는 헌정 영화가 되었습니다. 웃을수만은 없는 장면들, 1년 동안은 촬영과 재편집과 제 작업을 한 것이 이 영화이고요. 


진행 (허주영) : 이 영화를 어떻게 시작하게 되었는지 궁금한데요.
지혜원(감독): 27년 동안 방송 다큐를 만들어 왔습니다. 인간 극장 원년 멤버였습니다. 초창기 멤버였고, 27년 동안 다큐만 했는데 7년 전부터 티비와 영화를 오가면서 작업했습니다. 음악 다큐라고 해서 서민들. 일반인들, 사회적 약자들이 음악을 수단으로 활용하면서 성장한 이야기들을 많이 해왔어요. 
원래 미누씨와 아는 사이는 아니고, 미디어 쪽에 종사를 하니까 존재는 알고 있었어요. 개인적으로 드러머에게 관심이 많았는데 그래서 먼저 연락을 하게 됐고 그렇게 하면서 진행을 하게 되었다. 아무래도 추방된 사람이니까. 한국에서는 kbs , mbc 많이 나왔는데 추방당하고 나서 관심을 안 가져줬습니다. 인생의 황금기였던 20.30대를 보내고. 네팔로 갔을 때는 어떻게 살고 있을까? 해서 제작을 하게 됐습니다.

관객: 외교부 ,법무부, 문체부가 손발이 맞지 않네요. 들어왔을  때 공항에서 못 들어오고, 제가 문화 운동을 하고 있는 당사자를 찾고 있는데 정작 당시에 그런 분들이 계셨을 때는 다 쫓아내고 했던 게 아이러니해서....


지혜원(감독): 원래 규정은 강제 추방당한 지 5년 미만 된 사람은 재입국을 할 수 없다.라는 규정이 여지를 남겨뒀다는 생각이 들었고, 미누씨한테 미안했던 건 아예 비자를 안 내줬으면 들어와서 이런 상처를 안고 가지 않았을 텐데... 법무부가 굉장히 세대요. 공항에서 찍으면서 굉장히 창피했어요.

진행 (허주영) : 스탑 크랙다운이라는 이야기를 담으려고 했을 때는 정치적인 이야기가 될 수도 있겠다.


지혜원(감독) : 미누씨가 이주노동자  1세대이다. 다른 멤버들도 같은 포지션으로 살고 있습니다. 다문화 가정의 가장으로, 노동자로 살고 있어요. 멤버 중 난민 신청을 한 분은 난민신청이 받아들여져서 난민 협동조합 꾸려서 활동하고 있고요. 밴드 활동이 이 사람들에게 어떤 족적을 남겼을까? 지금 버전보다는 이들의 삶을 비중 있게 다루려고 했습니다. 처음 기획할 때는 2015년에 네팔로 멤버들이 콘서트를 하러 가기로 했거든요. 세월이 좋아지면 각자 나라로 가서 순회공연을 가자.라고 약속했는데 그래서 네팔을 첫 공연으로 하자.
2015 네팔 대지진이 일어나면서 못 갔던 거예요.
다큐를 하게 되면 콘서트를 하고 싶다고 이야기가 됐는데 미누씨가 입국이 거부되면서 미누씨의 콘서트가 되죠.

지혜원(감독) : 국제결혼, 동남아시아 사람하고 결혼하면 다문화. 지금은 차별의 뉘앙스를 갖고 있는 단어가 되었습니다. 미누씨 영화를 한 다음에 유튜브 콘텐츠를 하나 만들고 있는데 한국 이름이 우 유민인데 인천 우 씨다. 시조이다. 본인이 만든 성이거든요.
어떤 통계가 있냐면 하루에 귀화를 하는 사람이 30명이고 20명이 창성을 하고 있다. 그 정도로 우리 사회가 다문화 사회가 되어가고 있는데 피부로 못 느끼고 있는 거 같아서 새로운 성씨를 만들어 가고 있는 사람들의 유튜브를 만들고 있습니다. 9월에 업로드 예정입니다.  

관객 : 미누씨처럼 이주민 문화활동가들이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지혜원(감독) : 한국인 활동가들이 미누씨를 아끼는 사람들이 모여서 상을 만들려고 하고 있어요. < 미누 상>을 만들려고 하는데 상을 줄만한 사람이 없어요. 미등록 이주노동자들이 장기 체류하면서 당시에 운동을 많이 했거든요. 지금은 4년 있다가 본국으로 돌아가야 하기 때문에. 한국에 적응할 만한 하면 돌아가니까 운동가가 생기기 힘든 구조가 됐습니다.


진행 (허주영) : 미누씨가 있을 때도 고용허가제였다고 알고 있는데요


지혜원(감독): 지금도 미등록 체류자들이 있어요.

관객 : 생각이 많아지네요. 이런 영화 만들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관객 : 저는 올리브에 구운 김 그 장면 목장갑으로 눈물 닦으시는데 그때까지는 돌아가실 줄 몰랐습니다.

  
감독 : 저도 그렇게 울 줄은 몰랐다. 촬영하면서 굉장히  당황했었다. 내가 굉장히 잔인한 장면을 담았구나 생각했다. 어떨 때는 블루투스 마이크, 누룽지도 갖다 주고, 목장갑은 재밌으라고 선물했는데. 한 10분을 대성통곡하면서 울었다. 

진행 (허주영) : 목장갑이 굉장히 상징적이라고 생각했다. 나는 메시지를 전하는 메신저라고 했을 때 인상적이었습니다.

지혜원(감독) : 미누씨는 그때부터는 일을 안 했다. 스탑 크랙다운하면서 공연 다니고 방송 만들고 해방촌에서 달동네에서 월세 5만 원짜리 방에서 잤다고 했습니다. 그 당시 미누씨가 추방됐을 때 방 영상도 있긴 있는데.. 아주 조그만 방이었습니다.

진행 (허주영)  : 곁에서 지내시면서 영화에서 안 나온 모습이나 이런 게 있을까요? 


지혜원(감독)  : 굉장히 강박관념에 쌓여 있는 사람이었어요. 메신저라는 생각을 갖고 위험한 신분으로 운동했듯이 네팔에서도 네팔 사회를 위해서 뭔가를 해야 돼! 해야 한다는 강박에 쌓여 살았습니다. 제가 살아있는 한 사회를 생각하는 마음이 변치 않게 해 달라 기도를 했다고 말한 것을 들었어요. 

관객 : 이주노동자 그들의 삶 , 가치관은 한 번도 생각하지 못해서 부끄러웠고 사람은 누구나 똑같은 대우를 받으며 살아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지혜원(감독) : 이주민 문제는 마음만 가지고 되는 것도 아니고, 머리만으로도 안 되는거 같습니다. 내가 만난 사람은 한 개인일뿐인데 집단 정체성으로 묶어서 바라보면 안되는 거라고 생각해요.


관객 : 다문화 인식개선, 좋은 교류를 위한 첫걸음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지혜원(감독) : 사실을 알아야 할거 같아요. 결혼이주여성도 다문화이고, 이주노동자도 다문 파일 수도 있는데 저는 결혼이주가족은 잘 몰라요. 이 사람들이 없으면 우리나라는 올스톱이거든요. 이주노동자들이 많이 떠났습니다.  농어촌에 이주노동자가 없으면 일이 안 돌아가는 지경입니다. 우리 경제에 한몫을 하고 있고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면 좋겠고 실제적인 팩트를 갖고 아는 것부터 시작이라고 생각합니다. 


관객 : 만약에 미누씨가 강제 추방을 안 당했으면 추방되고 나서 네팔에서 자기 나라를 위해서 뭔가를 하려고 했는데 추방을 당하지 않았다면 미누씨는 어떻게 살고 있을까요?


지혜원(감독) : 한국에서 인권운동을 했을 거 같아요.  본인이 해야 하는 일이 있으니까요

관객: 왜 자신의 나라로 돌아가기 싫지?라고 영화보기 전에 이렇게 생각했는데 미누씨의 나라는 한국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18년이라는 세월이 굉장히 긴 세월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한국에서 이주노동자들의 환경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지혜원(감독): 아시아 국가 중에 한국의 이주노동자 정책이 가장 좋은 정책이라고 평가받는다고 해요. 임금을 떼일 수도 없고, 법적으로, 권리도 보장이 되고 그 대신 세금이며 낼 건 다 내거든요. 최근 들어 문제 되는 게 2가지인데 법적 제도는 개선이 되었는데 고용이 허가제!

고용주가 고용을 허가하는 제도인데 고용주가 해고하기 전까지 직장을 이동할 수 없습니다. 이 작업 환경에서 일할 수 있을 줄 알았는데  알레르기가 있을 수도 있고, 그러면 고용주가 해고하지 않으면 직장 이동이 불가하다는 것입니다. 이게 가장 큰 문제이고 고용허가제를 노동허가제로 바꾸라! 고 요구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주거환경이 열악한 것도 또 다른 문제입니다.

관객 : 한국인이라는 게 미안하고 부끄러웠다. 누구보다 묵직한 삶을 산 미누씨에게 고맙다. 
 

7월 영화제는 극장에서 개봉했지만 꼭 다시 초록영화제 관객들과 만나고 싶어  선정한 영화 < 안녕, 미누>를 소개해드렸는데요. 

다음 영화제 때까지 다들 무탈하시길 바라면서 ~~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